연구분야 및 실적
학회활동 및 기타
2003~ 한국중세철학회, 가톨릭철학회, 철학연구회 등 저서
Wirklichsein und Gedachtsein. Die Theorie vom Sein des Gedachten bei Thomas
von Aquin unter besonderer Beruecksichtigung seiner verbum-Lehre,
Wuerzburg: K & N 2006.
주요 논문
「중세스콜라철학의 지향성, 지향의 대상 및 지향적 존재에 관한 연구」, 『철학과 현상학 연구』,
2005. 「토마스 아퀴나스와 표상주의논쟁」, 『철학연구』, 2005. 「보편학으로서의 형이상학과 지성의 존재」,『중세철학』,
2003. 「토마스 아퀴나스의 species intelligibilis개념과 그것의 13세기철학에서의 위치」,『가톨릭철학』,
2003. 「실제학문(scientiarealis)vs.보편학문(scientiauniversalis): ‘형이상학의 대상규정 논쟁’에 대한
또 하나의 고찰」, 『철학논집』, 철학연구소, 2013. 「토마스 아퀴나스의 비판이론」, 『가톨릭철학』,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스콜라철학의 일의성 이론의 두 버전: 둔스 스코투스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일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한국헤겔학회, 2013.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자기인식과 개별성」, 『중세철학』, 한국중세철학회, 2013. 「자기실현에서
자기규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와 페트루스 요한네스 올리비의 자유론 비교」, 『철학』, 한국철학회, 2014.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개별선, 공동선, 최고선의 관계와 형이상학적 근거」, 『철학연구』, 대한철학회, 2014. 「선한 사람(homo bonus), 복된
사람(homo beatus):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상적 인간에 대한 연구 - 덕의 연결(connexio virtutum)이론을 중심으로 -」,
『철학논집』, 철학연구소, 2014.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혼-내-존재자’(ens in anima) 개념의 토마스주의적 해석의 한계와
그것의 대안적 해석」, 『범한철학』, 범한철학회, 2014. 「13, 4세기 도미니코회에서의 가능지성의 가능성 개념의 변화-알베르투스부터
에크하르트까지-」, 『가톨릭철학』,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