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규정 | 개정 규정 | |
교육목표 | 철학과 대학원은 동서 고금의 철학적 고전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창의적인 논문을 생산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는, 전문적인 철학자의 양성 및 인문학의 근간이 되는 철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갖추고 인문학 전반에서 창의적인 작업을 해나갈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전망하고 있다. | 철학과 대학원은 동서 고금의 철학적 고전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창의적인 논문을 생산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러한 교육 목표는, 전문적인 철학자의 양성 및 인문학의 근간이 되는 철학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갖추고 인문학 전반에서 창의적인 작업을 해나갈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전망하고 있다. |
공통규정 | 1. 본 학과는 석사·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에 동양철학, 서양철학 두 분야의 전공을 둔다. 2.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부전공 포함)하지 아니한 자는 철학과 공통필수 과목의 보완교육을 받아야 한다. (대체 이수과목 여부는 철학과에서 결정한다.) 3. 철학과 대학원생은 대학원 철학과에서 개설한 모든 과목들을 골고루 수강하여야 한다. (세칙은 과 교수회의에서 정한다.) 4. 대학원 철학과 석사 과정에서는 어떤 경우라도 개별 연구를 허용하지 아니한다. |
1. 본 학과는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에 동양철학, 서양철학 두 분야의 전공을 둔다. |
석사학위과정 | 1. 본 관련된 교과목 중에서 60학점 한다. 다만, 학·석사공용과목은 9학점을 초과하여 인정할 수 없다. 2. 석사학위과정 중 철학사와 해당 전공과목 1과목을 선택하여 종합시험(2과목)에 합격해야 한다. 3. 석사학위논문이 심사위원회의 심사에 통과되어야 한다. 4. 서양철학 전공자는 학위 과정 내에서 ‘동양철학’ 1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1. 본 학과 교과목 중 24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다만, 학·석사공용과목은 9학점을 초과하여 인정할 수 없다. |
박사학위과정 | 1. 본 학과와 관련된 교과목 중에서 60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다만, 석사학위 소지자에 대하여는 석사학위과정에 취득한 학점을 인정할 수 있다. |
1. 본 학과와 관련된 교과목 중에서 60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다만, 석사학위 소지자에 대하여는 석사학위과정에 취득한 학점을 인정할 수 있다. |
석·박사 통합과정 |
1.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철학과 관련된 과목 가운데 60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2. 석·박사통합과정에 들어 온 학생은 종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3. 제2외국어는 박사학위과정에 준한다. 4. 석·박사통합과정에 들어 온 학생 가운데 석사학위를 최종학위로 과정을 마치고자 하는 사람은 석사학위 과정의 규정에 따른다. |
1.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한 학생은 철학과 관련된 과목 가운데 60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한다. |
시행 및 경과 규정 | 1. 개정된 규정은 2011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단, 종합시험의 경우 2010학번 이전 재적생은 철학사와 전공 2과목으로 하며, 박사 및 통합과정은 2과목 외에 추가로 학진등재후보지 이상 학술지에 논문 1부를 게재하여야 한다. |
규정 외 종합시험 세칙
1. 종합시험(철학사)은 동서양의 문제를 같은 비율로 출제하며, 타 전공의 문제를 적어도 1문제 이상 풀도록 한다.(출제 문제 수는 유동적)
2. 종합시험의 출제 범위는 늦어도 시험전 3개월 전에 공지한다.
3. 1, 2번의 조항은 입학년도에 상관없이 2011년도 2학기부터 모든 재학생들에게 적용한다.
4. 3번 조항은 2011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